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24광년 거리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흔적? 놀라운 발견 정리!

by DJC 2025. 4. 19.
반응형

 


무슨 일이 있었나? 사건 개요 한눈에 보기

📅 2025년 4월 16일(현지시간), 전 세계 천문학계에 충격적인 뉴스가 퍼졌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진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이용해,

지구로부터 124광년 떨어진 K2-18b 행성의 대기에서 생명체 존재를 암시하는

화학물질의 흔적을 포착했다고 발표한 것이죠.

 

🔍 이 화학물질은 ‘디메틸설파이드(DMS)’와 ‘디메틸설파이오네이트(DMDS)’로,

지구에선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이 만들어내는 대사산물입니다.


즉, K2-18b의 대기에서 이 성분이 발견됐다는 건 생명체 존재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힌트가 될 수 있어요.


이번 발견의 주인공, K2-18b 행성은?

K2-18b는 이전부터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 후보로 꼽혀온 천체입니다.

  • 🌍 지구 질량의 약 9배
  • 📏 지름은 지구의 약 2.6배
  • ☀️ 태양보다 훨씬 작은 적색왜성 주위를 공전
  • 🔄 궤도상 위치는 ‘골디락스 존(Habitable Zone)’에 해당 (물의 존재 가능성 있음)

K2-18b 행성. 케임브리지 대학교 제공

 

2019년 허블 우주망원경이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 존재를 암시한 이후,

과학자들은 “태양계 외부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후보”로 평가해왔어요.


발견된 생명체 화학물질, 어떤 의미일까?

이번에 관측된 DMS와 DMDS는 단순한 분자가 아닙니다.
지구에서 이 물질은 대부분 생명체—특히 플랑크톤 같은 해양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죠.

 

🧪 이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 DMS 계열 물질은 생물학적 활동의 부산물로서, 지질학적 또는 무기적 과정으로는 쉽게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만약 이 물질이 생명체 외의 다른 경로로 생성될 수 없다는 것이 확실해진다면, 외계 생명체 존재의 직접적인 증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해양 외계행성’ 가능성, 과학자들이 흥분한 이유

K2-18b는 ‘하이세언(Hycean) 행성’으로 분류됩니다.
하이브리드(Hybrid) + 오션(Ocean) = Hycean! 🌊

 

이는 표면에 액체 상태의 바다가 존재하고, 두꺼운 대기층이 있는 행성이라는 뜻이에요.
즉, 물과 대기가 공존할 수 있어 생명체의 탄생과 유지에 필요한 환경이 일부 갖춰졌다는 의미죠.

📌 이러한 환경은 ‘지구형 행성’과는 다르지만, 또 다른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도 열어주고 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이룬 또 하나의 성과

JWST(제임스 웹 우주망원경)는 이번 발견의 핵심 열쇠입니다.

🔭 주요 기술 포인트

  • 적외선 분광 기술로 먼 거리에서도 대기 성분 정밀 분석
  • 태양계 외부 행성들의 기후, 구성, 대기 화학 반응까지 감지
  • 지금까지의 어떤 망원경보다 뛰어난 해상도와 감도 제공

JWST는 이미 수많은 은하, 별 탄생 지역 등을 밝혀냈는데요,
이번엔 그 렌즈가 ‘외계 생명체 탐사’라는 새로운 임무를 수행한 셈입니다.


과연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가능성과 한계

👽 아직 결론을 내리긴 이릅니다.
연구를 이끈 니쿠 마두수단 교수는 이렇게 말했어요:

“이번 발견은 태양계 외 행성 생명활동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이지만,
이 신호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 더 많은 검증이 필요합니다.”

현재로선 K2-18b의 대기에서 포착된 분자들이 비생물학적 반응으로 생겼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요.
따라서 향후 실험과 이론적 검토가 병행돼야 하는 상황입니다.


과거 발견과 이번 결과의 차이점은?

과거에도 비슷한 외계 생명체 가능성 뉴스가 있었죠.
대표적으로 2020년 금성 대기에서 ‘포스핀 가스’가 발견되었을 때 큰 이슈가 됐습니다. 하지만 이후 측정 오류 가능성이 제기되며 신뢰도가 떨어졌어요.

그에 반해 이번 K2-18b 대기 분석은:

  • 🛰️ JWST 기반의 고해상도 스펙트럼 사용
  • 🌍 지구와 유사한 해양 환경 가능성
  • 📈 같은 화학물질이 여러 번 반복 측정됨

과학적으로 훨씬 높은 신뢰성을 가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향후 관측 계획과 우주생물학의 미래는?

🔭 JWST를 활용한 추가 관측이 2025년 하반기에 예정되어 있으며,
K2-18b 외에도 유사한 하이세언형 행성 수십 곳이 후보 목록에 올라 있습니다.

💬 NASA와 ESA(유럽우주국)는 K2-18b를 포함한 외계 행성 탐사를 위해 별도의 미션을 준비 중이에요.
또한, 지구 외 생명 가능성 연구를 위한 우주 생물학 전용 연구소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 생명체의 ‘지구 중심’ 기준이 깨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과학계에선 “패러다임 전환이 시작됐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리: 이번 뉴스가 중요한 이유는?

지구 외 생명 가능성을 암시하는 분자가 실제로 관측된 첫 사례
하이세언 행성이라는 새로운 유형에 대한 관심 증가
제임스 웹 망원경의 성능이 실질적인 성과로 입증됨
향후 외계 생명체 탐사의 방향을 바꾸는 전환점이 될 가능성


✨ 마무리 요약 한 줄

K2-18b는 단순한 외계 행성이 아니라, 인류가 ‘우주에서 우리만 살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장소입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